근로장려금, 올해는 얼마 받을 수 있을까? 간단한 계산 방법 알려드립니다

2024년 근로장려금 신청 마감 임박! 아직 신청하지 못한 분들, 혹시 올해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궁금하신가요? 걱정 마세요! 간단한 계산 방법을 통해 예상 지급액을 확인해보세요.


근로장려금 계산

계산 방법

1.1 소득 기준 계산

  • 단독가구: 연간 부부합산 총급여액 2,200만원 – (근로소득 + 사업소득 + 임대소득 + 양도소득)
  • 홑벌이가구: 연간 부부합산 총급여액 3,200만원 – (근로소득 + 사업소득 + 임대소득 + 양도소득)
  • 맞벌이가구: 연간 부부합산 총급여액 3,800만원 – (근로소득 + 사업소득 + 임대소득 + 양도소득)

1.2 가구원 수 기준 계산

  • 1인 가구: 120만원
  • 2인 가구: 180만원
  • 3인 가구: 240만원
  • 4인 가구 이상: 300만원

1.3 지급액 계산

  • 소득 기준 계산액과 가구원 수 기준 계산액 중 낮은 금액이 지급됩니다.
근로장려금


예시

  • 단독가구, 연간 부부합산 총급여액 2,000만원, 가구원 1인:
    • 소득 기준 계산액: 2,200만원 – 2,000만원 = 200만원
    • 가구원 수 기준 계산액: 120만원
    • 지급액: 120만원
  • 홑벌이가구, 연간 부부합산 총급여액 3,000만원, 가구원 2인:
    • 소득 기준 계산액: 3,200만원 – 3,000만원 = 200만원
    • 가구원 수 기준 계산액: 180만원
    • 지급액: 180만원


참고 사항

  • 실제 지급액은 근로기간, 소득구간, 부양가족 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  • 정확한 지급액은 국세청 홈페이지(https://www.nts.go.kr/) 를 참고하세요.

홈택스에서 로그인 후 계산하면 제일 정확합니다. 아래를 클릭해보세요.


참고사항

이 글을 통해 여러분의 근로장려금 예상 지급액 확인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. 궁금한 사항은 국세청 홈페이지 또는 고객상담센터를 통해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
함께 보면 좋은 글

2024년 최고 금리! KB국민은행 2024-1차 공동구매정기예금 가입 방법, 금리, 조건 총 정리

YBM 전화영어 후기: 1개월 수강 후 느낀 점

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 전환이 불가능한 경우

Leave a Comment

error: Content is protected !!